sub visual 01
제목(국문)
국내 기업 적용을 위한 개인 및 조직차원의 감성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목(영문)
A Study on Emotional Competency i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of Korean Enterprises
Authors
강윤진, 송영수
키워드(국문)
조직 감성, 개인 조직차원 감성역량, 감성역량 구성요인
키워드(영문)
Organization emotion, Emotional competency i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Factors of emotional competency
발행년
2013
발행월
3
No.(호수)
26
Page
1~25
File
초록(국문) (*)
미래 기업의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감성역량이 직무만족, 인간관계 그리고 직무몰입과 같은 개인 수준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처럼 팀과 조직 수준에서도 구성원간의 신뢰, 집단 정체감, 집단효능감을 높이는데 필요한 변인으로 본다. 그러나 국내기업의 감성역량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개인차원에서 이루어져 왔고, 조직차원에서의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기업의 업무현장에서 조직차원의 감성역량 구성요인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 차원과 조직 차원의 감성역량이 어떻게 구분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국내 감성 및 역량 관련 기업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델파이조사, FGI 등 검증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기업 중심의 다수준별(개인, 팀, 집단 간 조직 감성역량은 6개 역량군, 9개 구성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개인수준의 인식 역량군에는 '개인 간 이해하기'와 조절 역량군에는 '갈등관리', '타인개발'을, 집단수준의 인식 역량군에는 '팀 자기평가'와 조절 역량군에는 '감성 자원 만들기', '긍정적 영향력', '주도적 문제해결'으로, 집단 간 수준의 인식 역량군에는 '조직적 이해'와 조절 역량군에는 '조직적 유대수립'으로 분류되었다. 감성역량에 대한 개인 및 조직차원의 통합적 접근차원에서 다수준별로 유사한 범주에 속하는 감성역량 구성요인들을 '인식(Awareness)'과 '관리(Management)'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6개 역량군 26개 구성 요인으로 관계정리되었다. 이런 결과는 개인차원과 조직차원의 감성역량 간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지며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감성역량의 개인차를 조직적 차원에서 실무적으로 활용하는데 큰 함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초록(영문)
As emotional competency, a core competency for future corporations,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skill in individual's growth regarding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job commitment and more. It is also considered a requisite skill to improve team's trust, identity and efficiency. However, studies on emotional competency in Korean corporations have been done mostly in individuals level, leaving the one about organizations insufficient. Hence,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ors of emotional competency in organization level in the workplaces of Korean corporations. It also investigates how emotional competency i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re differentiated. Thus, this study carried reference research, Delphi survey and FGI to Korean business field experts related to the field of emotions and competencies. The study resulted in drawing organization emotional competency in various levels(individuals, team, organization) in Korean corporations into 6 competencies and 9 factors. 'Understanding between individuals' was defined as a competency in individual awareness level, 'Dispute management', 'development for others' in individual control level; 'team self-evaluation' in team awareness level, 'building emotional resource', 'positive influence' and 'self-initiative problem solving' in team control level;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in organization awareness level and 'establishing organizational bond' in organization control level. In terms of integrated approach on emotional competency i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the factors belonged to similar categories in different levels were assorted into 24 factors in 6 competency domains within two terms, 'awareness' and 'management'. This result has its significance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competencies of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which suggests corporations a practical us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skills in organizat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