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visual 01
제목(국문)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공유정신모형의 매개 효과
제목(영문)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Shared Mental Mod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Effectiveness in the College Classroom
Authors
전명남
키워드(국문)
팀 학습행동, 팀 효과성, 팀 공유정신모형
키워드(영문)
Team Learning Behavior, Team Shared Mental Model, Team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
발행년
2014
발행월
2
No.(호수)
28
Page
93~122
File
초록(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을 할 때에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 및 팀 공유정신모형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팀 학습과 관련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해내는데 있다. 수업에서 팀 활동이 시작된 지 4주 후에, 팀 학습행동 척도(Van den Bossche et al., 2010)와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Johnson et al., 2007; 전명남, 2013)를 실시하였다. 팀 활동의 종료 시점에, 참가자들은 팀 효과성 척도에 응답하였다(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수집된 자료 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25개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657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팀 학습행동, 팀 효과성과 팀 공유정신모형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팀 공유정신모형과 그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 하위변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 전체를 부분매개(partial mediating)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의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을 부분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행동이 팀 공유정신모형을 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 학습 팀을 활용한 대학 수업과 산업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초록(영문)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of team shared mental model(TSM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effectiveness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t learning team in the classroom.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57 college students in Kyungsangpookdo and Daegu City in Korea and were used for the analysis. At the point of 4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team learning behaviors scale(Van den Bossche et al., 2010), TSMM scales(Johnson et al, 2007; Korean version validated by Jun, 2013) were administrated. At the end of semester(At the point of 6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students were answered at and team effectiveness scale(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The first, learn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TSMM and its sub-variables which were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and dependent variable which is team effectiveness. The secon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whole TSMM. The thir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subfactors of TSMM,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and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educational application that team learning behavior mad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mediate of TS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