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visual 01
제목(국문)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직무성과와 자기효능감, 개인창의성 및 조직몰입의 인과적 관계
제목(영문)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Job Performance, Self-efficacy, Indivi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s
Authors
이정욱, 김진모
키워드(국문)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 직무성과, 자기효능감, 개인창의성, 조직몰입
키워드(영문)
job performance,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발행년
2012
발행월
3
No.(호수)
24
Page
21~48
File
초록(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직무성과와 자기효능감, 개인창의성 및 조직몰입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고 추후 대기업 연구개발인력의 성공적인 직무성과 창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공개한 상위 20개 기업의 연구개발 인력 258명을 대상으로 직무성과와 자기효능감, 개인창의성 및 조직몰입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로써 첫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간 인과관계 모형은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을 대상으로 한 실증자료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창의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자기효능감은 개인창의성과 조직몰입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개인창의성은 조직몰입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개발 인력의 개인창의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해 보다 면밀히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개발 인력의 대상을 직급이나 연구유형, 세부직무 등과 같은 특징을 기준으로 유형화하여 차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기업 연구개발 인력의 직무성과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하고 이에 대한 측정도 좀 더 객관화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조직내에서 연구개발 인력의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을 높이거나 충분히 발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초록(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crea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has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positively. However, creativity had no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rd,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no in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with self-efficacy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Forth,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no in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with creativity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 further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creativity closely. Second,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 need to be measured by dividing it into more specific levels. Third, further research investigating other variables related with job performance need to be conducted and measurement of job performance need to be objectification. Forth, further research investigating effects of way to boost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D workforce in large corp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