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visual 01
제목(국문)
군 장교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제목(영문)
The Inf luence of Protean Career At t i tudes on Subject ive Career Success of Mi li tary Of f icers
Authors
이재봉, 진성미
키워드(국문)
프로틴 경력, 프로틴 경력지향성, 주관적 경력성공
키워드(영문)
Protean career, Protean career attitudes, Subjective career success
발행년
2011
발행월
3
No.(호수)
22
Page
89~112
File
초록(국문) (*)
조직과 경력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개인의 경력정체성과 경력적응력을 강조하는 ‘프로틴경력’ 개념이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개인의 경력성공과 관련하여서도 객관적 경력성공보다는 주관적인 경력성공 개념의 중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틴 경력지향성을 자기주도적 경력관리와 가치중심적 태도로, 주관적 경력성공을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미치는 영향과 계급, 근속기간의 조절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는 군 장교 303명의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적 경력관리는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치중심적 태도는 경력만족에는 긍정적 영향이 미치고 있으나 고용가능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급은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 모두에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근속기간은 가치중심적 태도가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는 모두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군 장교들의 경력개발을 위하여 그들의 경력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틴 경력지향성을 높이도록 하는 군 인적자원개발 노력이 더 필요함을 시사한다.
초록(영문)
Changes in organizational career context stimulated the emergence of concept of "protean career" that emphasizes individuals' career identity and career adaptability. In a similar vein, subjective career success has been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capture individual career success.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ank and service perio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case of military officers. Protean career attitudes consist of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and value-driven predispositions, and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were used to measure subjective career success.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military officers. Result showed that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Value-driven predisposi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employability. The rank did not reveal moderating effect on both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while service period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ability. The result implies that military HRD interventions need to take initiatives to develop protean career attitude of military officers for their career development.